WEB ACCESSIBILITY

웹 표준이란?

웹 표준(Web Standards)은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의 총칭으로,
일반적으로 국제적 표준화 단체인 W3C가 정한 웹을 만드는 기술 권고안을 말합니다.

웹 표준은 구속력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미국과 일본, 유럽등에서 장애인법을 시행하면서 구속력을 행사하기 위한 범위의 설정을 가이드한 것이 결국에는 W3C 권고안이었기에 일반적으로 W3C = 웹 표준으로 관례화 되었다고 보는 것이 통상적입니다.
사용자들이 IE뿐만 아니라 다양한 브라우저 및 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비표준 방식의 제작 형태로는 원활한 접근이 어려워졌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환경에서도 동일한 결과물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표준을 지켜 제작되어야 합니다.
웹 표준을 이용해 작성된 문서는 브라우저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치 및 환경, 장애인 지원용 프로그램에서도 정상적으로 동작하며, 결과적으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이 용이해 집니다.

마크업 용량의 축소
코드의 양이 줄어드는 것은 페이지 로딩 시간이 줄어드는 것을 의미함. 서버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관리, 처리 능력을 극대화하여 비용 절감
컨텐츠와 문서 모양의 분리
CSS를 사용하여 문서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짐
높은 웹 접근성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 휴대폰, PDA, 장애인 지원용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단말기 적용 가능
향후 상호 호환성을 보장받음
오래된 브라우저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고려하고, 다른 기종 혹은 플랫폼에 따라 다르게 구현되는 기술을 비슷하게 만듦과 동시에 어느 한쪽에만 최적화되어 치우치지 않도록
공통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 제작 가능

웹 접근성이란?

웹의 창시자인 Tim Berners-lee에 따르면, 웹의 힘은 보편성에 있으며,
장애에 구애 없이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설명합니다.

접근성을 단지 장애인에게 국한된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인식입니다. 비록 접근성 준수가 장애인에게 가장 혜택이 많이 돌아가는 것은 사실이지만, 웹 접근성이란 어떠한 사용자(장애인, 노인 등), 어떤 기술환경에서도 전문적인 능력 없이도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접근성을 보장하게 되면 장애를 지닌 사람 뿐만 아니라 일시적으로 불리한 조건을 갖게 된 정상인에 이르기까지 편리하게 웹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또한, 네트워크 속도가 느리거나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사람들, 다양한 운영체제와 다양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조건에 관계없이 웹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으며 웹의 사용성을 증진시켜 주기도 합니다. 이러한 접근성 개념은 정보통신 분야에서 다양한 제품 및 서비스간의 호환성 문제, 이동 정보통신기기 및 서비스의 확대 등으로 그 필요성 및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습니다.

웹 접근성을 확보함으로써

  • 장애우, 노인 등 포괄적인 법위로 사용자층 확대
  • 장애인, 고령자 등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웹에서 원하는 정보들을 자유롭게 접근하고 이용가능한 환경을 만들어 사회참여간접비용도 절감
  • 장애인도 사용가능한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일반인과 동등한 업무처리가 가능함으로써 얻어지는 생산성의 향상
  • 명확한 HTML구조와 높은가독성, 접근성 증대로 효율적 정보검색이 가능
  • 다양한 장소, 새로운 기기 환경에서의 이용가능
  • 유지 및 개발 비용절감의 효과
  • 향후 디자인 및 설계에 있어서의 효율성 제고
  • 사회공헌 및 복지기업으로서의 기업이미지 홍보 효과

웹 접근성 품질마크

웹 접근성 품질마크

  • 장애우, 노인 등 포괄적인 법위로 사용자층 확대
  • 장애인, 고령자 등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웹에서 원하는 정보들을 자유롭게 접근하고 이용가능한 환경을 만들어 사회참여간접비용도 절감
  • 장애인도 사용가능한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일반인과 동등한 업무처리가 가능함으로써 얻어지는 생산성의 향상
  • 명확한 HTML구조와 높은가독성, 접근성 증대로 효율적 정보검색이 가능
  • 다양한 장소, 새로운 기기 환경에서의 이용가능
  • 유지 및 개발 비용절감의 효과
  • 향후 디자인 및 설계에 있어서의 효율성 제고
  • 사회공헌 및 복지기업으로서의 기업이미지 홍보 효과